타이어는 자전거의 주행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부품으로,
타이어의 폭과 트레드 형상에 따라 성격과 용도가 달라진다. 폭 1.2인치의 로드용부터 3인치의 다운힐용까지 다양하게 생산되고, 라이딩 스타일과 자전거 용도에 따라 선택하는 요령이 필요하다. 타이어의 역할 타이어는 라이더가 페달을 돌리는 힘과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지면에 전해서 자전거가 달리고 멈출 수 있게 하는 중요한 부품이다. 사이클과 MTB의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가 휠의 크기와 타이어의 두께인 것처럼 타이어는 자전거의 주행성능과 성격을 결정짓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타이어가 가진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충격흡수 능력이다. 서스펜션 포크와 리어쇽이 발달한 지금도 타이어의 종류와 공기압력에 따라 승차감이 달라지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타이어 공기압을 지나치게 높이거나 낮추면 충격흡수력이 떨어지고, 타이어의 수명도 짧아진다. 주입 가능한 공기압은 타이어 측면에 표시되어 있으며, 도로 상황과 라이더의 체중에 따라 적정 공기압은 달라진다. 포장도로에서는 타이어 공기압을 높이는 것이 유리하고, 길이 험하면 공기압을 낮추는 것이 주행성능과 충격흡수력을 높여준다. 하지만 공기압이 낮으면 튜브가 림에 찍혀 펑크가 나는 스네이크 바이트 (Snake Bite, 독사가 문 이빨 자국처럼 두 곳에 나란히 펑크가 남)가 일어나기 쉽다. 라이딩 스타일과 용도에 따라 타이어를 선택하는 것이 좋은데, 타이어는 소모품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트레드가 닳아서 교체할 시기가 지난 타이어를 계속 쓰다가는 타이어가 찢어져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앞 타이어와 뒷 타이어는 역할이 서로 다르다. 앞 타이어는 조향능력을 높이기 위한 형태로 설계되고 뒷 타이어는 힘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그립력을 높게 만든다. 따라서 앞뒤 공용 타이어보다는 앞뒤 용도가 구분된 타이어를 고르는 것이 좋다. 타이어의 구분 용도가 아니라 구조에 따라 타이어를 구분할 때 그 기준은 튜브의 유무와 비드의 재질이 된다. 튜브를 쓰는 일반적인 타이어와 튜브가 없는 튜브리스(Tubeless) 타이어로 나누거나 비드 재질에 따라 케블러 비드 타이어와 스틸(와이어) 비드 타이어로 구분하는 것이다. 최근 빠르게 보급되고 있는 튜브리스 타이어는 튜브가 없어서 타이어의 측면인 사이드월의 유연성이 좋아져 험로에서의 접지력이 높고, 스네이크 바이트도 생기지 않는다. 하지만 값이 비싸고 튜브리스 전용 림을 사용해야 하며 휴대용 펌프로는 공기를 넣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튜브가 없는 만큼 가볍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공기가 새지 않도록 비드 부분이 강화되어 경량화 효과는 크지 않다. 튜브리스 타이어의 가장 큰 장점은 접지력이 높아지는 것이다. 비드는 타이어가 림에서 벗겨지지 않도록 림과 타이어를 고정시켜주는 부분으로, 케블러와 스틸로 만든다. 케블러 비드는 스틸 비드에 비해 가볍고 타이어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접히는 타이어는 장거리 여행을 가거나 보관할 때 편리하다. 같은 타이어라도 비드 소재가 무엇이냐에 따라 값도 달라지는데, 케블러 비드 타이어가 비싼 편이다. 경량화를 추구하는 XC 레이싱용은 케블러 비드를 주로 쓰고, 코너링 속도가 빨라 림에 가해지는 힘이 큰 다운힐용 타이어는 무거워도 스틸 비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타이어-타이어 클리어런스(Tire Clearance) 요즘 재미있는 라이딩을 위하여 광폭 타이어를 사용하는 분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서스펜션 포크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타이어 사이즈에 한계가 있다는 사실을 아는 분은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2.3인치 이상의 광폭 타이어를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타이어 클리어런스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이것은 라이더의 안전과 직결된 중요한 사항이므로 이하 내용을 자세히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타이어 클리어런스란? 타이어 클리어런스란 샥의 '크라운'과 '타이어' 윗부분 사이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메이커와 림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보통 타이어 폭이 커지면 타이어의 지름 또한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타이어 지름이 커지면서 타이어 클리어런스 즉, 크라운과 타이어 사이의 거리가 트래블 이하로 작아질 수 있습니다. 만약 버텀아웃(Bottom Out, 트래블이 다 먹는것)되면 타이어가 크라운 아래에 와서 닿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순간적으로 매우 강한 앞 브레이크를 가한 것과 마찬가지가 되어, 심하게 엔도(Endo, 앞으로 뒤집어짐)가 되면서 라이더는 앞으로 세게 내동댕이쳐지고 말 것입니다. 예를 들어 마니또 X-Vert 시리즈는 트래블이 105mm이므로, 타이어 클리어런스는 최소 105mm 이상이어야 합니다. (매뉴얼에는 최소 108mm가 되어야 한다고 나와 있으며, 최고 타이어 사이즈는 2.2인치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직접 X-Vert와 마빅 X223림에 흥아 Schwalbe Fat Albert 2.35를 장착해 보았습니다. 자로 여러번 재어본 결과, 타이어 클리어런스가 102mm 정도 밖에 채 확보되지 않았습니다. 이런 경우는 이 타이어를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흔히 X-Vert는 댐핑이 좋아서 버텀아웃이 잘 되지 않는다고 하죠. 하지만 만약 버텀아웃이 된다면, 그것은 매우 빠른 속도 또는 점프, 드롭과 같은 극한의 상황일 확률이 높습니다. 그러한 상황에서 타이어가 크라운에 박혀서 앞바퀴가 급정지가 된다면...? 생각만 해도 끔찍합니다. 여러분들도 메뉴얼에서 최대 타이어 사이즈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대부분 메뉴얼의 첫머리에 있을 것입니다) 아니면 직접 자를 가지고 크라운과 타이어 사이의 '수직' 거리를 여러번 정확히 재어 보십시오. 이 거리가 포크의 최대 트래블보다 더 길어야만 합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작은 사이즈의 타이어로 바꾸도록 하십시오. 굳이 광폭의 타이어를 고집한다면, 샥을 바꾸는 방법도 있습니다. 실제로 광폭을 쓰기 위해 샥을 바꾸는 사람들도 있다고 합니다. |
'자전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도를 높이는 방법 (0) | 2012.01.17 |
---|---|
올바른 Pedaling (0) | 2012.01.17 |
오르막을 정복할 수 있는 방법 (0) | 2012.01.17 |
싯포스트 직경이란 (0) | 2012.01.17 |
비뇨기과 전문의가 말하는 자전거 (0) | 2012.01.13 |